푸린이의 log

[3주차 공부 키워드] 다익스트라, 플로이드 워셜, 위상 정렬

글의 목차 이번 글에선 최단 경로 알고리즘, 위상정렬에 대해 다룹니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 1-1. 다익스트라 1-2. 플로이드 워셜 위상정렬 알고리즘 문제 중 최단 경로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유형이 있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는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 플로이드 워셜, 벨만 포드 알고리즘 이 3가지가 대표적이...

[1주차 공부 키워드] 개념 정리

주차별로 공부 키워드가 주어지는데, 그 키워드를 잘 잡고 가지 않았던것 같아 3주차를 시작하기 전에 이 키워드들을 한번씩 회고해보며, 제 글로 설명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글의 목차 간단하게 아래 목차별로 개념을 훑어보기 배열 문자열 반복문과 재귀함수 복잡도(BigO, 시간, 공간) 정렬 배열 ...

[크래프톤정글 1주차 회고] 본격적인 알고리즘 학습

0주차 팀별 프로젝트를 마치고 1주차부터 본격적인 알고리즘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바로 1주차 과정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인데요. 매 주차별로 알고리즘 문제들이 주어지고 관련 키워드들을 스스로 학습하며 해결해나가는 것입니다. 1주차의 키워드는 정렬, 재귀함수, 완전탐색 등이 있었습니다. 이 중에 재귀함수가 제겐 너무 어려웠는데요. 이해하기 위해서 코...

[크래프톤정글 0주차 회고] 이제부터 시작

크래프톤 정글에서 0주차 ‘정글 입성’은 팀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었습니다. 본격적인 정글을 시작하기 전에 서버에 배포하여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했습니다. 저희 팀은 정글에서 살아남기 - 웹 커뮤니티 서비스를 구현하였습니다. 웹 커뮤니티에 걸맞게 개발, 일상으로 크게 카테고리를 두어서 궁금한 부분, 일상 고민 등등 자유롭게 올릴 수 있는 ...

["우테코 7기 프리코스 4주차 회고"]

[우테코 프리코스 4주차 회고] 기능구현 뫼비우스 띠에 갇힘

4주차 미션을 보고 처음으로 든 생각은 이걸 어떻게 구현하지?하며 처음 보는 요구사항에 많이 당황했었습니다. 그래도 일단 부딪혀보자. 하며 무작정 뛰어 들었습니다. 그렇게 마주한 첫번째 벽은 구현에 필요한 상품 목록과 행사 목록을 파일 입출력을 통해 불러온다. 였습니다. 일단 불러와야 기능구현을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아 파일 입출력에 대해 검색해보...

["우테코 7기 프리코스 3주차 회고"]

[우테코 프리코스 3주차 회고] 급박했던 예외처리

2주차 과제에서 테스트코드를 작성하지 못했었어서 3주차에는 작은 기능이라도 테스트해보고자 했으며, 일급컬렉션과 enum에 대해 공부한 후 코드에 적용해보았다. 그 과정 속에 배웠던 점과 아쉬운점에 대해 회고록을 남기고 싶다. [코드리뷰를 통해 배운점들] 일급 컬렉션 활용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테스트 작성 검증 역할을 위한 클래스를 굳이...

["우테코 7기 프리코스 2주차 회고"]

[우테코 프리코스 2주차 회고] 테스트코드, 너 누군데?

지난 1주차를 진행 후, 많은 분들께 코드 리뷰를 받았었고, 우테코에서 피드백도 주셨다. 이것들을 정리해둔 뒤, 과제에 적용하려 노력했고, 최대한 지키자! 하는 목표를 세우고 2주차 과제를 진행했다. [리뷰를 통해 배운점들] stream을 사용한다면 한줄에 .하나만 찍기 1-1) 가독성이 더 좋아짐 view 적용해보기 (입력하거나 출력...

["우테코 7기 프리코스 1주차 회고"]

[우테코 프리코스 1주차 회고] 문제 해결의 첫 걸음

프리코스를 진행하면서 느낀점, 어떤 고민들이 있었는지, 문제 해결 과정 등을 회고글에 담아보려한다. 과제를 딱 받고, 처음 요구사항을 읽었을때, 까마득한 느낌을 받았다. 글로 읽었을땐, 이렇게 하면 되겠는데~했지만, 막상 머릿속으로 어떻게 구현해나갈지 상상하니, 어디서부터 손대야할지 우왕좌왕했다. 하지만 일단 go! 하면서 기능을 구현하기 ...

© sihyu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