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List
배열 리스트는 아래와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공간 배열 크기를 미리 정해져있기에 사용하지 않으면 메모리가 낭비됨 데이터 중간에 추가 추가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야 함 이 단점들을 어느정도 극복해주는 자료구조가 있다. 자신...
배열 리스트는 아래와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공간 배열 크기를 미리 정해져있기에 사용하지 않으면 메모리가 낭비됨 데이터 중간에 추가 추가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야 함 이 단점들을 어느정도 극복해주는 자료구조가 있다. 자신...
먼저 Array(배열)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배열의 크기를 초기에 정적으로 정한다 (정적할당) ex) Hello[] hi = new Hello[7]; 배열의 크기를 변경하지 못함 따라서 메모리 낭비가 될 수 있으며, 크기가 부족할 수 있음 자료를 찾을 때, 인덱스(index)를 사...
정보처리기사 필기 제 2과목인 소프트웨어 개발부분을 정리하였습니다. 자료 구조의 분류 선형 구조(Linear Structure) 배열(Array) 선형 리스트(Linear List) 연속 리스트, 연결 리스트 스택(Stack) ...
정보처리기사 필기 제 1과목인 소프트웨어 설계부분을 정리하였습니다. 객체지향 기법 캡슐화(Encapsulation) 데이터(속성)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 정보은닉과 밀접한 관계 재사용이 용이 상속성(Inheritance) 상위클래스(부모 클래스...
컴포넌트 스캔이란? 자바코드의 @Bean, XML의 <bean> 등 설정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작성해주었다면 컴포넌트 스캔은 설정정보에 작성하지않아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해준다. 컴포넌트 스캔을 하기위해선 설정 정보에 @ComponentScan을 붙여주면 된다. 그럼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들을 스캔해 ...
스프링 기본 빈 등록방식은 ‘싱글톤’ 방식이다. 따라서 스프링 컨테이너는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해준다. 싱글톤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싱글톤 패턴에 대해 알고 넘어가자. 싱글톤 패턴이란? 객체 인스턴스가 단 1개만 생성되는 디자인 패턴이다. 싱글톤 패턴 구현 코드 new SingletonPattern()해서 객체를 미리 ...
저는 Chirpy 테마를 사용하고 있으며, 게시글 작성에 있어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Chirpy 테마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는 것이기에 읽는데에 유의바랍니다. 블로그 글이 올라가는 파일형식 ├── 📁_posts │ ├── 📃2024-03-07-Constructor(생성자).md │ └── 📃2024-03-16-static...
static은 ‘정적인’, ‘고정된’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static이 붙은 변수나 메서드는 클래스와 함께 자동으로 메모리의 static 영역에 생성된다. 자동으로 메모리에 올라가기 때문에 객체 생성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고정된’이라는 단어 의미처럼 static 키워드가 변수나 메서드 앞에 붙으면 클래스가 관리하기 때문에 클래스에 고...
생성자는 왜 쓸까? 객체를 생성할때, 초기값을 설정 하기위해 사용한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있을것이다. 왜? 초기값을 설정하지? 간단한 실생활 예시로 설명하겠다. 손님이 카페에 가면 음료를 주문할 때의 상황을 떠올려주세요. public class Coffee { private final String menu; private ...
접근 제어자 설명 private 모든 외부 호출 X default 같은 패키지 호출 O protected 같은 패키지, 다른 패키지(상속관계) 호출 O pub...